본문 바로가기
이런저런 주제로 얘기하는 나/바이오분야의 핫이슈

[이슈] 암줄기세포(cancer stem cell)가 무엇일까?

by 노혼혼 2020. 10. 1.
728x90

삼중음성유방암을 공부하다가 이런 내용을 봤다.

에스트로겐 수용체 (ER) 양성 유방암이나 Her-2 수용체 양성 유방암의 경우에는

암줄기세포가 많아봤자 2~5%정도이고,

삼중음성유방암의 경우에는 60%가 암 줄기세포인 줄기세포암이라는 것이다.

전체 암에서 보통 1~2%가 암줄기세포인데, 일반 암세포는 방사선 치료나 항암치료에 잘 죽지만

암 줄기세포는 잘 증식하지 않고, 다양한 펌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죽지않고

다시 성장하여 재발하고, 전이된다고 한다.

따라서 암 줄기세포가 많은 암은 난치성 암이 되고,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육종암, 백혈병, T세포림프종, 원발미상암 등이 있다고 한다.


출처_Role of miRNA-Regulated Cancer Stem Cells in the Pathogenesis of Human Malignancies


암 줄기세포란 무엇일까?

암 줄기세포 (Cancer stem cell;CSC, 또는 Tumor initiating cells;TICs)는

종양을 생성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는 세포를 말한다.

이들은 암을 형성할 수 있는 자가재생능력을 가지고 있고,

암 조직에서의 암 줄기세포는 0.1~5%사이로 추정되며

분열이 왕성하지 않고 약물저항 유전자의 발현이 높고

빠르게 분열하며 증식하는 암세포를 공격하는 항암치료로는 암 줄기세포를 죽이지 못한다고 한다.

 

암 줄기세포는 다양한 세포형에서 줄기세포의 특성인 자기재생과 분화능력을 통해 종양을 발생시킨다.

 

또한 종양에서 다른집단과 구별되어 새로운 종양을 발생시킴으로써 재발과 전이의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암 줄기세포를 타겟으로 하여 특이적 치료방법의 발달은

 

암환자의 생존률의 증가와 삶의 질 개선, 특히 전이성 질병을 가지는 환자들에서 희망이 될 수 있다.

 

현재 존재하는 암 치료방법은 대부분 동물모델을 기반으로 발달되었으며, 종양을 수축시키는데 효과적이다.

 

그러나 동물은 사람질병의 완전한 모델을 제공할 수 없는데

 

실제로, 수명이 2년을 넘지 않은 쥐의 경우, 종양 재발에 대한 연구가 어렵다.

 

실험 초기단계에서 암 치료방법의 효과는 흔히 종양 덩어리 일부를 절제함으로 측정한다.

 

암 줄기세포는 종양의 일부이기 때문에 줄기세포능력에 대한 활성을 갖는 약을 선택하지 않는다.

 

이 이론은 전통적인 화학요법(Chemotherapy)이 새로운 세포를 생성하지는 않지만

 

종양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분화되었거나 분화중인 세포를 죽이며,

 

발생된 암 줄기세포 부분은 그대로 남아 재발의 원인이 된다.


암 줄기세포의 존재에 대한 최초의 보고는

1994년 캐나다 토론토 대학교의 연구팀이 최초 보고하였고

CD34+/CD38- 의 조혈모세포로부터 유래한 암세포임을 보고하였다.

고형암에서의 암줄기세포를 확인한 2003년 미국 미시건대학 종합암센터 연구팀은

CD44+/CD24-(low) 표현형을 갖는 유방암세포가 암줄기세포임을 최초로 규명하였다.

암줄기세포의 기원은 두가지가 있는데,

Hierarchial Model-왕족만이 왕이 될 수 있다는 모델과

Non-Hierarchial Model-누구나 왕이 될수 있다는 모델이 있다.

전자 모델은 네덜란드 후브레흐트 연구소의 한스 클레버스 박사가 주장한 것으로

정상 줄기세포 자체가 악성종양의 잠재력을 가질 만큼 충분한 유전자의 변이가 축적되어 종양을 일으킨다는 이론이고,

후자의 경우에는 암의 전이과정에서 종양미세환경의 변화는 일반암세포와 암줄기세포의 성질을 획득할 수도 있다는 이론이다.

암 줄기세포의 바이오마커는 굉장히 다양하다.

각 암종별로 고유의 암 줄기세포 바이오마커가 보고되고 있고, 연구에 사용되고 있지만

실제 바이오마커를 발현하는 암세포는 암환자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는 점과,

암환자마다 암줄기세포가 각기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그래도 암 줄기세포에 대한 연구는 꼭 진행되어야 하는데,

 

암의 치명적인 질병은 암전이와 재발인데, 암줄기세포가 암 전이와 재발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출처_위키백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