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 실험은 크게 in vitro(생체 외)와 in vivo(생체 내)로 나뉜다.
in vitro는 생체 외, 그러니까 세포를 이용해서 flask나 dish, well plate에서 효능을 검증하는 것이다.
in vivo를 하기 전에 in vitro를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아무래도 in vivo는 생물을 이용하다보니 그에 따른 시설과 관리비용 등 실험 스케일이 in vitro보다는 훨씬 크기 때문에
먼저 확실한 효능을 검증하기 위해서 in vitro실험을 먼저 진행한다.
예를 들어서, 항암효과를 가지는 물질의 효능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먼저 in vitro실험으로 암세포에 그 물질을 처리한 다음,
암세포의 생존률을 확인하면 된다.
물질을 처리했을 때 현저히 암세포의 생존률이 떨어진다는 것이 in vitro에서 검증되면
생체 내에서도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해야 한다.
부작용이 없는지, 확실히 생체 내에서도 working 을 하는지 등등 평가를 해야 하는데
이 때 in vivo 실험을 계획하게 된다.
in vivo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선택되는 모델은 마우스 모델이다.
연구에 적합한 마우스 모델은 어떻게 선택될까?
어떤 연구를 하느냐에 따라서 마우스 종류가 달라지고, 환경 조성이 달라지고,
약물 투여 경로, 실험 결과 확인 방법이 달라지는 등
연구 주제를 뒷받침할 수 있는 가장 최적화된 방법들이 구축된다.
실험용 마우스는 homozygous 마우스를 사용하는데 이들은 같은 alleles를 가지므로 유전적으로 굉장히 안정적이다.
그런데 키워보면 털이 자라는 위치나 피부 주름 정도.. 등등은 약간씩 다르긴 하더라.
(이런건 어떻게 차이를 확인할 수 있을까? 전체 유전자 분석해보면 알 수 있으려나??)
실험자들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마우스 모델은 C57BL/6와 BALB/c, nude mouse 이다.
이 친구들은 어떤 차이점을 가질까?
C57BL/6는 까만 쥐인데,
비만과 유전자변형(transgenic)실험 할 때 많이 쓰인다.
얘들은 Th1 면역반응과 IFN-gamma 생성이 지배적이고 종양 발생률이 낮다.
면역 내성을 가지기 쉽고 탈모가 생기기 쉽다.
그래서 예전에는 발모 효능 볼 때 얘네 털 밀어서 제형 도포 한 다음
얼마나 털이 잘 자라나 실험하기도 했는데
최근에 화장품업계에서 동물실험 out을 외치면서 우리 랩에서도 실험을 무른 적이 있었다.
BALB/C는 하얀 쥐로
천식, 아토피 피부염, 폐암, 신장암, 난소암, 부신 종양, 백혈병 등등
다양한 면역실험과 약리실험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얘네는 Th2 면역반응이 높고 폐렴에 걸리기 쉬워서
다른 homozygous 마우스들과 같은 방에서 키우지 않는게 좋다.
처음에 랩에서 랫(rat)도 키웠었는데, 처음에 아무 것도 모를 때는 얘가 랫 새끼 인줄 알았다.
랫도 새하얗고 눈도 빨간데 크기만 커서...ㅋㅋㅋㅋ
마지막으로 nude mouse!
이 친구들은 면역결핍된 친구들이라 종양 실험에 정말 많이 이용된다.
선천적으로 Foxn1 유전자가 없어서 흉선이 없다.
흉선이 없으므로 면역계에 필수적인 면역세포들을 생산할 수 없는 친구들이다.
그러니까, 면역세포의 전구체는 있는데 면역세포로 성숙이 이뤄지지 않는 것이다.
그래서 다른 종들의 암을 이식해도 거부 반응이 없다.
종양실험 할 때 얘네 많이 사용하는데,
항암제 투여도 같이 하다보니 애들이 너무 작고 소듕하다..ㅠㅠㅠㅠ
다음에는 실제 동물실험이 어떻게 이뤄지는지도 다뤄볼 생각이다!
'이런저런 주제로 얘기하는 나 > 연구원의 과학,실험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험] 내 세포 잘 살아있는거 맞지? Cell viability assay로 확인해보자!! (0) | 2020.08.18 |
---|---|
[실험] 동물실험기법을 알아보자!! - 설치류의 보정 및 투여 (0) | 2020.08.17 |
[실험] 중합효소연쇄반응, PCR이란?? DNA RNA Gene work 의 기초!! (0) | 2020.08.15 |
[실험] 바이러스 연구는 어떻게 진행될까? Viruses study system?! (0) | 2020.08.13 |
[실험] 효소면역측정법, ELISA란?? 엘라이자.. 너란 친구....♡ (0) | 2020.08.08 |
댓글